사소하지만 안사소한

누군가에겐 사소하지만, 누군가에겐 유용한 것들을 공유해요

  • 2024. 9. 11.

    by. 하찮씨

    목차

      반응형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위해 도입된 청년도약계좌.

      누적가입자가 목표치에 미치지 못하여 혜택을 강화하였다고하는데 어떤 내용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이 목돈을 만들기 위한 정책금융상품으로 만기 5년(60개월)동안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매월 최대 6%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지난해 목표가 300만명이었는데, 지난 7월 기준 누적가입자가 140만 명으로 목표치의 반에도 도달하지 못하였습니다. 이에 보다 강력한 저축 유인과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지원금을 확대하였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지원 강화 주요내용

       

       가구소득요건 완화

       - 가구소득 중위 180% → 250% 이하로 개선

         (3월 가입신청 기간에 신청한 청년부터 적용)

       

       중도해지 시 지원 강화

       - 3년 이상 가입 유지 시에도 혜택 적용

         (청년도약계좌 3년 이상 유지한 후 중도해지하는 경우 비과세를 적용하고 정부기여금도 매칭비율의 60% 수준으로 지급)

       

       특별중도해지 사유 추가

       - 특별중도해지 사유로 혼인, 출산 추가

         (이 사유에 해당하여 특별중도해지를 하는 경우 비과세 적용 및 정부기여금 지급)

       

       병역이행 청년 가입 지원

       - 군 장병급여만 있는 경우에도 가입가능

         (소득기준연도에 군복무 이력이 확인되는 청년은 3/25일부터 가입신청 가능)

       

       

      더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가입대상

      가입기준 : 만 19세~34세 이하

       소득

       - 개인소득 :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500만원 이하이면서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인 경우

       - 가구소득 :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에 해당하는 자

       - 금융소득종합과세 :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는 자

      출처 : 서민금융진흥원

       

       

       

      지원내용

       - 납입한 금액에 비례해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 지원

       - 본인납입금액과 정부기여금에 대한 이자와 이에대한 비과세 혜택

       

      이번에 정부에서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지원 규모를 확대하는 계획을 발표하였는데,

      월 최대 33,000원, 만기 수령액 최대 60만원으로 늘어나게 된다고 합니다.

      모든 소득구간에서 매칭한도를 월 70만원으로 확대하고, 확대된 구간에는 매칭 비율 3%를 적용하여 기여금을 지급한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신청방법

      ● 신청기간 : 매달 초 신청

       신청방법 : 청년도약계좌 취급은행 앱

      ※ 외국인의 경우 가입은 은행지점 대면으로, 신청은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가능

       

      지원형태 : 현금

       

      ※ 참고> 취급은행

      농협, 신한, 우리, 하나, 기업, 국민, 부산, 광주, 전북, 경남, iM뱅크(구 대구)

       

       

      이상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