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반응형오늘은 2025년부터 달라지는 취약계층 지원 정책에 대해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가정 밖 청소년, 저소득 한부모 가족, 양육비를 받지 못하는 부모, 중증 장애인을 부양하는 가구를 위한 4가지 중요한 변화가 있는데요, 어떤 혜택이 있는지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1. 가정 밖 청소년 자립지원금 확대
청소년 쉼터에서 퇴소한 후 혼자 생활을 책임져야 하는 청소년들이 많습니다. 정부에서는 이들을 위해 자립지원수당을 지급해왔는데요.
>> 2025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 지원 금액: 월 40만 원 → 월 50만 원
• 지원 대상: 기존 340명 → 440명으로 확대
• 신청 대상: 만 18세 이후 청소년쉼터 퇴소자
퇴소 후 5년 이내라면 신청할 수 있으니, 해당되는 분들은 꼭 챙겨보세요.
2. 저소득 한부모 가족 주거 지원 강화
지금까지는 출산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한부모 가족이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 제한적이었습니다. 하지만 2025년부터는 더 많은 사람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주거 지원이 확대됩니다.
>> 2025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 소득 제한 없이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입소 가능
• 출산 후 1년 이내 한부모 및 미혼자도 입소 가능
• LH 공동생활 가정형 임대주택 지원 확대
이제 한부모 가족이 주거 걱정을 덜고 더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3. 양육비 선지급제 도입
양육비를 받아야 하지만, 상대 부모가 지급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로 인해 양육자가 경제적 부담을 혼자 떠안아야 하는 문제가 컸는데요.
그래서 2025년부터는 국가가 먼저 양육비를 지급하고, 이후 비양육자에게 비용을 청구하는 방식으로 변경됩니다.
>> 2025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 자녀 1인당 월 20만 원 지급 (만 18세 이하)
•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 지원 대상 포함
이제 양육비 지급이 지연돼도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국가가 먼저 지급해주기 때문에 양육자가 좀 더 안정적으로 아이를 키울 수 있을 것입니다.
4. 중증 장애인 부양가구 근로장려금 지원 강화
기존에는 중증 장애인을 부양하는 가족이 같은 주소지에 거주해야만 근로장려금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요양원이나 병원에 입원하면 주소가 변경되면서 지원이 끊기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 2025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 요양원, 병원에 머물러도 부양가족으로 인정
• 근로장려금 계속 수령 가능
앞으로는 중증 장애인이 요양시설에 거주하더라도 가족이 부양자로 인정받아 지원금을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게 됩니다.
마무리
2025년부터 시행되는 취약계층 지원 정책 변화는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혹시 본인이나 주변 분들이 해당된다면, 꼭 신청 방법을 확인하고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반응형'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 절약하고 현금 돌려받자! 에너지캐시백 신청 꿀팁 공개 (3) 2025.03.14 스쿨뱅킹 신청방법 (feat.신한카드) (0) 2025.03.13 사업자카드 발급 조건 및 신청 방법 총정리 (개인사업자 & 법인사업자 필독!) (0) 2025.03.07 2025년 국가장학금 신청 가이드: 지원 대상부터 신청 방법까지 (2) 2025.03.06 자녀 의료보험번호 조회 방법 | 온라인 간편 확인 가이드 (0) 2025.03.05